사소한 이야기들(272)
-
[스크랩] 프랑스 와인 라벨의 이해( V.D.Q.S. )
VDQS (Vins delimites de Qualite Superieure) 생산과정을 규정해 놓고 원산지명을 명시하고 있다. 통상 뱅 드 뻬이에 비해 원산지명 단위가 작다. 생산지 영역, 포도품종, 최고 알콜 함량, 헥타르당 생산량, 포도나무 경작법, 양조법을 규정해 놓고 조건에 부합하는 와인에만 VDQS라벨을 교부한다. 이를 위해 성분 분..
2007.09.30 -
[스크랩] Medoc Grand Cru 1등급
무똥 (매년 유명화가들이 라벨을 그림 샤갈 피카소등등) 마고 라투르 라피트 오브리옹
2007.09.30 -
두번째 와인 -쉬라즈와인(레드)
두번째와인은 시라(쉬라즈) 와인(포도품종 이름)이다 같은 품종(프란스는 시라..호주는 쉬라즈)이라도 지역에 따라 맛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. 두번째 와인은 나에게 좌절감을 주었지만..유익한 공부는 되었다. (맛이 없어서 따라 준 와인도 다~ 못먹었다 ) 시라의 특징이 담배향..커피향..후추향...
2007.09.30 -
첫번째 와인-작업용 와인 Moscato D'asti
와인 강좌를 살짝 올리마~공짜라도....열심히 공부해라 술도 문화이므로..알아두면..언젠가..써 먹을 날이 온단다. 참..내가 생각해도..난..오지랖이 넓다..배우든지 말든지..ㅎㅎ 1번째 와인은 작업용 와인인 무스까또 다스티.. 모임에서 이야기를 했으니 생략하고..중요한점은 .. Asti지역에서 (D'Asti) 무..
2007.09.30 -
프랑스 와인의 등급 4단계
먼저 포도주를 알려면 라벨을 볼 줄 알아야 한다. 라벨에는 생산지역이나 도시, 농장 등의 표시 외에도 포도주의 등급과 종류, 알코올도수 등 그 한 병에 담겨있는 포도주의 대부분을 설명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 그리고 포도주는 지역이나 도시, 농장의 이름을 상표의 이름으로 결정하는 경우가 ..
2007.09.30 -
중앙일보대학평가-약학대학
중앙일보에서 약학대학을 평가했다는데..뭐~그리 정확한 평가를 했겠나 싶지만.. 궁금한 마음에 확인을 했더니..좀 열은 받는다. 대학시절..썩~ 내 학교를 좋아하지는 않았지만..졸업생 역량을 빼고는 1등한것이 없으니 학교...는 반성해야 하지 않을까? (내가 다닐 때만해도 이렇게 형편없지는 않았는..
2007.09.29